티스토리 뷰

728x90
반응형

Tomcat 서버 설정에서 한글이 포함된 URL을 제대로 처리하려면,

예를 들어 톰캣으로 실행한 서버에서 한글이 제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지 않는다면

<Connector> 요소에 URIEncoding 속성을 추가해야 한다. 

<Connector URIEncoding="EUC-KR" connectionTimeout="20000"
maxParameterCount="1000" port="8080" protocol="HTTP/1.1" redirectPort="8443"/>
  • 위의 내용을 Tomcat의 server.xml 파일에 입력해야 한다.

이클립스에서 server.xml위치

핵심 포인트

  • URIEncoding="EUC-KR": URL에서 한글을 정확히 읽기 위한 설정. EUC-KR 인코딩을 사용하여 한글이 깨지지 않고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합니다.
  • 문제 발생 방지: 이 설정이 없으면 Tomcat이 기본적으로 ISO-8859-1 인코딩을 사용하게 되어, 한글이 포함된 URL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해 깨진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.

요약

  • 설정 필요성: 한글 포함 URL을 처리하기 위해서 반드시 URIEncoding="EUC-KR" 설정이 필요.
  • 문제 해결: 이를 통해 한글이 깨지거나 잘못 해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.

추가 설명

EUC-KR 외에도 다른 인코딩(예: UTF-8)을 사용할 수 있지만,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동일한 인코딩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. 클라이언트가 UTF-8 인코딩을 사용한다면, 서버도 URIEncoding="UTF-8"로 설정해야 한다.

728x90
반응형

'프로그램사전세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pring tools 세팅  (0) 2024.09.19
오라클클라우드 세팅  (1) 2024.09.09
SQL 모드 설정 변경(GROUP BY부분)  (0) 2024.07.24
이클립스 디버그 모드 사용법  (0) 2024.07.11
이클립스 설치&세팅  (0) 2024.07.11